전체기사
검색
검색
검색
종합보도
참교육
특집기획
문화
연대
연재
얘들아 어서와, 온라인 졸업식은 처음이지?
1월 8일 일찌감치 졸업식을 했다. 12월에 졸업식 계획을 세울 때만 해도 코로나 대응 단계별로 졸업식 형태를 달리할 것을 고민했어야 했는데, 12월 하순에 이르러서는 학급별로 학생들이라도 ...
21세기 복잡성에 적응하는 혁신교육
미래의 특징을 변동성, 불확실성, 복잡성, 모호성이라고 규정하기도 하는데, 올해는 이러한 특징을 유감없이 보여준 한 해이다. 이 글을 쓰는 지금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3단계로 격상할지 불 ...
코로나에 대응하는 세계의 교육
마을에 또 확진자가 발생했다. 이번에는 우리 학교 학생의 가족이란다. 급하게 원격 수업으로 전환한다는 알리미가 발송되었다. '황금 같은 등교일이 또 사라지다니.' 어쩔 수 없이 대면용 ...
전문적 학습공동체 그림책 동아리 '도담도담'
한 번도 겪어 보지 못한 코로나19는 학교 현장에도 대혼란을 불러왔다. 그럼에도 교사들은 여러 새로운 방법을 시도하며 아이들을 다시 만났고, 좀 더 준비되고 전문성을 갖춘 교사로 거듭나 ...
랜선으로 만나는 참교육실천 현장
참교육실천연수, 작은참실한마당, 참교육실천한마당 등을 이름으로 기후위기, 청소년노동인권, 통일, 페미니즘 등 알찬 내용으로 채워졌던 참실대회 중 지금도 온라인으로 만날 수 있는 강 ...
학교 성교육 바닥 드러난 오늘의 교실
자신의 몸을 스스로 사랑하고 돌보는 능력, 자신의 몸과 관계와 삶 속에서 존엄하고 건강한 선택과 결정을 할 수 있는 능력, 다양한 관계(가족, 친구, 동료, 집단) 속에 평등과 존중을 실천하 ...
도대체 포괄적 성교육(CSE)이 뭐지?
제대로 된 성교육이 무엇일까? 있기나 한가? 국제사회에서는 이미 이 물음에 대한 답을 내놨다. 유네스코에서 지난 2009년 '국제 성교육 가이드'를 공개한 후 2018년 개정판이 나오고, 한국에는 ...
"잘하고 싶지 않은 아이들은 없다"
아이들의 세계에서 가장 의미있는 대상은 부모, 교사, 또래 친구들이다. 이 세 주체가 건강한 삶이라는 한 곳을 바라보게 되자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그 가치에 물이 들었다. ...
전남, 정규교사의 책임지도 "기초학력전담교사제"
두드림학교, 협력강사, 방과후 학습 강사, 학습상담사, 대학생 멘토링...각기 다른 이름표를 달고 ‘기초학력 지원’라는 한 목표를 향해 달리는 이름들이다. 코로나 장기화로 ‘학습격차 ...
[탐방] 학교텃밭 일구는 교사들의 ‘교육농’ 이야기
폭우가 전국을 휩쓸었다. 충남 홍성면 홍동마을에 있는 교육농연구소에 지난달 9일, 비를 뚫고 농사짓는 이들이 모였다. 논이나 밭에 씨를 뿌리고 가꾸어 거두는 이들은 교육과 농(農)을 ...
초등교사 94.7%, "NEIS 초중등 분리해야 한다"
초등교사의 96.1%는 현행 NEIS 학생생활기록부(생기부)의 입력 항목에 부정적인 의견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초등위원회(전초위)는 지난 6월 30일부터 7월 21일까지 전국의 ...
구로구에 "오전 원격학습지원 마을학교 개교하다"
코로나 국면이 장기화하면서 돌봄과 더불어 학습격차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는 비단 맞벌이 가정만의 문제가 아니다. 부모가 자녀가 함께 있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자녀의 원격수 ...
“장애교원의 근무 여건 개선은 정책적 뒷받침, 사회 인식 제고 필요”
장애인 교사들은 학교 관리자나 동료교사의 관계, 담임 등 보직 배제 등을 학교 생활에서 겪는 어려움이라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교원으로 구성된 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장 ...
서울지부, 민주적 학교운영 실태조사 결과 발표
15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서울지부에서 발표한 ‘민주적 학교운영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 학교 의사결정 과정의 민주적‧투명성에 대해 46.7%가 부정 평가를, 33.8%가 긍정 평가한 것으로 나 ...
'셧다운'된 관료주의에서 발견한 희망
사상 초유의 네 차례 개학 연기와 온라인 수업, 온-오프 수업을 병행하는 블렌디드 러닝까지 코로나19를 겪으며 나타난 교육현장의 변화를 토대로 교육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
워킹 스루. 드디어 학생들과의 첫 만남이 이뤄졌다.
3월이 오고 봄이 오면, 서울 구로구에 있는 천왕초 교사들과 학생들은 함께 텃밭을 가꿔왔다. 코로나19 감염 확산으로 인해 개학이 여러차례 연기되면서 텃밭을 함께 일구는 시간도 미뤄지고 ...
l 기ㅣ고 | 지난 5주, 우리는 어디에 있었나?
집 앞에 개나리와 벚꽃은 만발했는데 집안 곳곳은 겨울의 흔적이 가득하다. 흠칫 놀라 달력을 확인한다. 2020년 4월 4일 토요일, 페이스북에 들어가 과거의 오늘을 되짚어보니 '상담 주간'을 ...
| 기 | 고 | 4월에만 기억되지 않기를
팽목항을 다녀오고 광화문으로 청와대로 다니면서 만난 세월호 유가족들의 한 맺힌 목소리를 외면하고 살아갈 자신이 없었습니다. 교사이기에 앞서 한 인간으로, 또래의 자녀를 둔 어머니 ...
'박사' 하나 잡았다고 끝이 아니다!
가해자들은 갑자기 나타난 괴물이 아니다. 텔레그램을 이용한 소위 'n번방사건'은 2019년 초부터 시작되었다. 1년 가까운 시간 동안 국회와 관계기관들은 무엇을 했는가? 이번 사건이 수면 위 ...
교실은 본래 학생의 것이다
교사가 되고 독립적인 교실이라는 공간을 가졌을 때 약간 어색하고 불편했으나, 이 역시도 아이들과 함께 쓰는 공간이었기 때문에 금세 적응할 수 있었다. 하지만 교실이라는 공간은 기존에 ...
1
2
3
4
5
>
URL 복사
x
검색어
http://m.news.eduhope.net/
위에의 URL을 누르면 복사하실수 있습니다.
PC버전
Copyright ⓒ 교육희망. All rights reserved.